대규모 트래픽을 견디는 데이터 구조 — 인덱스와 캐싱 전략(5)

대규모 트래픽을 견디는 데이터 구조 — 인덱스와 캐싱 전략

대규모 트래픽을 견디는 데이터 구조 — 인덱스와 캐싱 전략 | 실무형 성능 최적화 완벽 가이드 대규모 트래픽을 견디는 데이터 구조 — 인덱스와 캐싱 전략 백엔드 개발에서 트래픽이 커질수록 드러나는 한계는 코드가 아니라 데이터베이스(DB)입니다. 서버 리소스를 아무리 늘려도, 쿼리 한 줄이 비효율적이면 전체 시스템은 병목을 피할 수 없습니다. 그 병목을 해결하는 가장 강력한 두 가지 도구가 … Read more

트랜잭션과 동시성 제어 | Node.js + Sequelize 실무 예제(4)

트랜잭션과 동시성 제어 | Node.js + Sequelize 실무 예제

데이터를 안전하게 — 트랜잭션과 동시성 제어 | Node.js + Sequelize 실무 예제 데이터를 안전하게 — 트랜잭션과 동시성 제어 데이터는 단순히 저장만 하면 되는 게 아닙니다. 정확하게 저장되고, 동시에 여러 요청이 와도 꼬이지 않게 유지되는 것 — 그게 진짜 백엔드 시스템의 기본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트랜잭션과 동시성 제어의 본질을 Node.js + Sequelize 예제와 함께 배워봅니다. 핵심 키워드: … Read more

데이터를 움직이는 힘 — ORM과 모델링 기초 | Sequelize로 배우는 실무형 데이터 모델링(3)

ORM모델링 기초

데이터를 움직이는 힘 — ORM과 모델링 기초 | Sequelize로 배우는 실무형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를 움직이는 힘 — ORM과 모델링 기초 서비스의 규모가 커질수록 코드와 데이터의 경계는 모호해집니다. 그 경계를 부드럽게 연결해주는 기술이 바로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ORM의 개념과 Sequelize를 이용한 모델링 실습을 통해 “데이터를 코드처럼 다루는 법”을 배워봅니다. 핵심 키워드: ORM, Sequelize, 데이터 … Read more

데이터의 중심 — 데이터베이스 구조 이해 | RDB와 NoSQL, MySQL·PostgreSQL 비교 및 Node.js 연결 실습(2)

데이터베이스 구조이해

데이터의 중심 — 데이터베이스 구조 이해 | RDB와 NoSQL, MySQL·PostgreSQL 비교 및 Node.js 연결 실습 데이터의 중심 — 데이터베이스 구조 이해 “백엔드의 심장은 데이터베이스다.” 서버가 아무리 빠르고 로직이 복잡해도,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하고 관리하느냐가 시스템의 품질을 결정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RDB와 NoSQL의 차이, MariaDB·MySQL·PostgreSQL 비교, 테이블 구조, 쿼리 기초, 그리고 Node.js + Sequelize를 이용한 DB 연결까지 실무 … Read more

웹서비스의 뼈대 — 백엔드란 무엇인가? 10가지 핵심(1)

웹서비스의 뼈대, 백엔드란 무엇인가?

웹서비스의 뼈대 — 백엔드란 무엇인가? | 10가지 핵심으로 완벽 이해하는 실무 가이드 웹서비스의 뼈대 — 백엔드란 무엇인가? 처음 실무에서 서버를 띄웠을 때 터미널에 Server running on port 3000이 찍혔습니다. 겉으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보였죠. 하지만 그 한 줄은 요청을 받고, 로직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해 응답을 만드는 웹서비스의 심장이 뛰기 시작했다는 뜻이었습니다. 이 … Read more